지갑은 지갑이 아니다. — 웹3 철학자
지갑 vs. 디지털 지갑 vs. 크립토 지갑
봉인된 웹 3.0의 잠재력을 해제하려면 크립토 지갑(암호화폐 지갑)이 필요합니다.
인터넷 사용 시 브라우저가 관문 역할을 하는 것처럼 크립토 지갑은 dApp(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, decentralized application의 약자로 디앱 혹은 댑이라고 부름)을 사용할 때 꼭 필요합니다.
‘지갑’ 하면 흔히 떠오르는 이미지와 디지털 지갑의 역할을 함께 설명하면 크립토 지갑(혹은 웹 3.0 지갑)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지갑은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신용카드나 현금, 운전 면허증 혹은 사랑하는 사람의 사진까지 보관할 수 있는 실체가 있는 물건(유형)입니다. 휴대전화 내에 있는 지갑으로 대변할 수 있는 디지털 지갑은 실체는 없지만(무형) 신용카드 정보나 디지털 화폐, 콘서트 티켓, 탑승권 등 다양한 것들을 보관할 수 있습니다.
크립토 지갑은 웹 3.0 전용으로 설계된 디지털 지갑의 한 형태입니다. 크립토 지갑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권한 관리, 암호화폐나 대체 불가능한 토큰 등을 저장하는 데 사용합니다.
실체가 있던 없던 상관없이 모든 지갑의 핵심은 권한을 보관해 줘서 당신이 어디를 가든 권한을 행사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.
크립토 지갑과 권한 행사
웹 3.0에서 권한은 어떻게 행사할 수 있을까요?
웹 3.0에서 크립토 지갑은 디지털 키(key)로 대표되는 신원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수단입니다. 블록체인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디앱을 사용하거나 암호화폐를 주고받고 NFT를 사고파는 등의 행위를 하려면 이 키가 필요합니다. 크립토 지갑은 지갑을 사용해야만 하는 디앱이나 거래에 접근 권한을 부여해 주는 권한 관리자 입니다.
비밀 복구 문구와 공개 주소
크립토 지갑을 만들 땐 비밀 복구 문구(Secret Recovery Phrase, SRP) 혹은 시드 문구(Seed Phrase)라 불리는 고유한 문구가 생성됩니다.
여러 단어로 구성된 이 문구는 수수께끼같이 장난 같아 보이지만, 실제론 보안상 철저히 관리해야 할 마스터 비밀번호입니다(마스터키가 있으면 어떤 문이든 열 수 있는 것처럼 마스터 비밀번호가 있으면 계정으로 모든 것을 할 수 있습니다).
시드 문구는 seed라는 단어 그대로 씨앗 같은 역할을 합니다. 줄기와 열매의 원천이 씨앗인 것처럼 시드 문구는 누구나 볼 수 있는 ‘공개 주소(public address)’와 ‘비밀키(private key)’의 원천이 됩니다. 메타마스크 같은 크립토 지갑을 사용해 계정을 생성하면 공개주소와 비밀키가 한 쌍으로 생성됩니다.
블록체인에서 자신을 식별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공개 주소입니다. 마치 은행 계좌 번호와 같은 역할을 하죠. 공개 주소와 마찬가지로 시드 문구에서 파생된 비밀키는 은행 계좌를 사용해 거래할 때 사용하는 PIN 코드(공인 인증서 비밀번호와 유사)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. 당연히 이 비밀키는 누구와도 공유해선 안 되겠죠? 안전한 곳에 보관해야 하는 건 당연하고요.
크립토 지갑은 사용자가 이더리움과 같은 블록체인에서 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공개 주소와 비밀키를 관리해 줍니다. 렛저(Ledger)같은 하드웨어 지갑은 오프라인에 키를 저장해서 보안을 한 단계 더 강화해 주는 역할을 해주죠. 이어지는 글에서 공개 주소, 비밀키 등에 대해 더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.
크립토 지갑 사용 사례
지금까지 크립토 지갑이 무엇인지, 어떤 역할을 하는지 간단히 설명해 보았습니다. 이렇게 크립토 지갑을 사용하면 웹 3.0에서 다음과 같은 행위를 할 수 있게 됩니다.
- NFT 민팅 및 구입
- 거버넌스 투표에 참여
- 거래 승인 혹은 거부
- dApp 연동
- 암호화폐 구입
- 웹 3.0 신원 생성 및 관리
핵심 요약
- 크립토 지갑은 웹 3.0의 관문입니다.
- 크립토 지갑은 디지털 키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입니다.
- 크립토 지갑은 내가 상호작용하려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에 접근 및 승인 권한을 부여해 주는 ‘권한 관리자'입니다.
출처: 글의 원문은 METAMASK | Learn이며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학습자를 위해 일부 각색 하여 번역하였습니다.
번역자: 서강대학교 게임교육원 이보라 교수(learnerbr@gmail.com)